1.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부류
1)회선 교환망(Circuit Switched Network)
회선 교환망은 통신하기 전에 물리적인 연결을 하는것으로 전용 통신을 설정하여 통신이 끝날때까지 독점적으로 연결을 사용하는 방식.
이 방식(Circuit Switched Network)은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면 다른사람과 공유할 수 없음,
대표적인 예로는 전화망을 생각할수 있다. 회선교환망은 경로가 설정되는 동안에 시간지연이 발생하지만 경로가 설정 된 후에는 전송 지연이 거의 없다.
2)패킷 교환망(Packet Switched Network)
요즘의 네트워크의 대부분은 패킷교환망이다. 전송하고 싶은 정보를 패킷(Packet)단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
패킷마다 발신지주소(Source address)와 수신지주소(Destination address)에 주소를 넣어 패킷 교환망에 보내면, 라우터가 그 주소를 확인하고 최종 목적지까지 전송해준다. 패킷 교환망의 특징은 회선 교환망처럼 통신 경로가 통신 시에 확정되지 않는다는 것. 각 패킷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여러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음.
3)셀 교환망(Cell Switched Network)
셀 교환망 내에서는 프로토콜을 간략화하여 데이터를 셀이라고 부르는 패킷 단위로 전송. 셀은 전송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을 담당하고, 흐름제어와 오류제어는 단말 간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회선 교환과 같은 고속성을 실현할 수 있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셀 교환망의 대표적인 형태로 헤더 5바이트와 데이터 48바이트로 구성된 셀을 전송하며, 고속 네트워크 전송에 이용된다.
2)위상(Topology)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1.버스형(Bus topology)
버스형 네트워크는 통신회선 하나에 여러 노드가 접속해있는 형태이다. 한 노드에서 전송한 메세지가 모든 노드에 전달(Broadcasting)된다.
단점은 노드가 많아지면 노드간 통신 시 충돌로 인해 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허브
2.스타형(Star topology)
스타형 네트워크는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의 모든 제어를 관리한다. 허브가 스위칭 허브로 바뀌면서 버스형이 스타형 네트워크로 바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스타형 네트워크에서는 노드 간의 데이터가 다른 노트에 전달되지 않으며, 중앙 노드가 네트워크 성능을 좌우한다. 설치가 용이하지만 중앙 제어 노드가 작동을 못하면 네트워크가 정지 되는 단점이 있다.
3.링형(Ring topology)
토큰 네트워크가 링형 네트워크의 일종으로, 오래된 대학교 네트워크 등에서 간혹 찾아볼 수 있다.
링형 네트워크는 한 노드에서 에러가 생기면 통신망이 정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토큰을 받아야 데이터를 전송할수 있으므로 노드간에 데이터 전송 지연이 일어나면 지연시간이 계속하여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4.허브/트리형(Hub/tree topology)
허브형과 트리형 네트워크는 버스형의 변형으로 작은 버스형 네트워크 여러개를 계층적으로 연결한 형태.
최근의 네트워크는 대부분 버스형과 스타형의 작은 네트워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들 네트워크가 계층형으로 구성되는 형태를 띈다.
'옥탑방주인 > 정보보안 개론과 실습(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0) | 2016.11.08 |
---|---|
SDN 과 NFV (0) | 2016.11.07 |